로고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로그인
  • 참여
  • 공지사항
  • 참여

    공지사항

    [새말새몸짓 뉴스레터 #014] “철학이 국가발전의 기초이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487회   작성일Date 21-09-01 14:45

    본문

    철학이 국가발전의 기초이다

    나와 세상을 바꾸는 만남  
    (사)새말새몸짓

    2663_1503300334.png

    새말새몸짓 뉴스레터 #014
    2021.08.30

    48760_1630250604.jpg

    “철학이 국가 발전의 기초이다
      
       최진석 이사장은 "철학이 국가 발전의 기초이다"고 말합니다. 이어서 철학이 현실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예술로, 문화로 또 다른 장르로 우리 삶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이어집니다. 결국, 철학은 명사가 아니라, 바로 동사라는 것을 말씀하시고자 했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어느 강연에서 철학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기도 합니다. "철학은 인간이 세계를 다루는 고효율의 장치이다."라고 말이죠. 철학은 세상사에 한걸음 뒤로 물러나서 관조하고 향유하는 추상적 활동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내용 안에서 고도의 추상성을 발휘하여 실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라고 힘주어 말합니다. 

      이러한 철학의 내용은 최진석 이사장님의 그간의 저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보다 먼저 철학이 국가발전의 기초라는 말 너머의 생각의 깊이를 한번쯤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요즘 우리에게 필요한 화두가 아닐까 합니다.
         

    JVtAqfBeLXI-thumb.png

    공부의 배신
     
      『공부의 배신』을 쓴 윌리엄 데레저위츠는 어떤 주립대 분교의 교수가 자신의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할 줄 모르는 것을 불만스러워하자 자신이 가르치는 예일대 학생들은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알지만, 그것도 교수가 원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뿐이라고 말해 준다. 똑똑한 학생들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조차도 학습해 버리는 것이다. 스스로 해낸 자신만의 생각조차도 자신의 생명력에서 분출시키기보다 외부의 요구에 맞추는 훈련의 결과가 되어 버릴 수 있다.
     
      외부의 요구나 간섭 없이 오로지 자신에게서만 나오는 것이 스스로의 생각일 수 있다. 이것만이 창의적 결과를 보장한다. 자신의 생각도 사실은 자신이 의도적으로 해내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에게서 튀어나오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옳겠다. (중략)
     
      자신이 발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문이다. 대답이 아니다. 대답은 있는 이론이나 지식을 먹은 후 누가 더 많이 뱉어 내는가 혹은 누가 더 원형 그대로 뱉어 내는가 결정한다. 대답하는 사람은 고유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보다는 지식과 이론이 머물다 가는 중간역이나 통로로 존재한다. 질문을 한다는 것은 자신의 궁금증과 호기심이 안에서 요동치다가 계속 머무르지 못하고 밖으로 튀어나오는 일이다. 궁금증과 호기심은 이 세상 누구와도 공유되지 않는 오직 자신만의 매우 사적이고 비밀스러우며 고유한 어떤 힘이다. 결국 궁금증과 호기심이 자기 자신이다.
     
      창의력이 화두다. 하지만 창의력도 자세히 보면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발휘되는 것 혹은 튀어나오는 것이다. 창의력이 의도적으로 발휘하려고 해서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내일부터라도 맘먹고 발휘해 버리면 될 일이다. 이렇게 하여 우리는 창의적인 국가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게 쉽지 않다. 창의력도 사실은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발휘되는 것 혹은 튀어나오는 것이다. 어디서 튀어나오는가?
     
      질문이 튀어나오고 창의력이 발출되고 하는 그곳은 지식이나 이론 혹은 기능이 작동되는 곳이라기보다는 궁금증과 호기심과 같이 무질서하고 원초적인 어떤 곳이다. 이론적이라기보다는 인격적인 어떤 처소다. 정해진 처소도 없는 오리무중의 어떤 힘일 뿐이다. 터전 같은 것이다.
     
      ‘남귤북지(南橘北枳)’라는 말이 있다. 남쪽의 귤을 강 건너 북쪽에 심으면 탱자가 되어 버린다는 뜻인데, 주로 사람에게 삶의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말이다. 심은 터전에 따라 탱자도 되고 귤도 된다. 지식도 어떤 사람에게는 족쇄이고 어떤 사람에게는 자유와 창의의 바탕이 된다. 이 터전이 문화다. 사람에게는 그것이 인격이다. 독립적 인격의 터전은 결국 궁금증과 호기심이다. 창의력이 필요하면 인격적 독립성과 자유로운 기풍을 제공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문화가 강조되는 이유다. 결국은 어떻게 궁금증과 호기심을 유지하는가다.
      
       
    최진석, 『경계에 흐르다』, 소나무, 2017, 148~151쪽 발췌

    48760_1625989743.png

    48760_1629654629.jpg

    < 행 사 안  내 >

    48760_1629053882.jpg

    48760_1622361283.png

    (사)새말새몸짓 홈페이지에서는 새말새몸짓의 활동을 소개하고 참여하실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만, 늘 새말새몸짓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하겠습니다. 아울러, 저희는 비영리법인으로 후원을 통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후원하기
    48760_1623604368.jpg
    새말새몸짓 회원님,
    후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후원내역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내역
    11188_1605151840.png
    11188_1605151842.png
    11188_1605151836.png
    48760_1622362057.png

    48760_1622374902.png

    (사)새말새몸짓 
    www.nwna.or.kr | newwordnewattitude@naver.com
    서울시 서초구 청계산로 207(신원동, 신일해피트리앤), 501호
    수신거부 Unsubscribe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