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로그인
  • 참여
  • 공지사항
  • 참여

    공지사항

    [새말새몸짓 레터 #093] 이제는 크기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593회   작성일Date 23-04-30 23:48

    본문

    잔챙이로 살다 가도 괜찮은지, 최소한 한 번은 물어야 한다. 우선은 자신에게.
    나와 세상을 바꾸는 만남  
    (사)새말새몸짓
    2663_1503300334.png
    새말새몸짓 레터 #093
    2023. 03. 13.

    안녕하세요? 새말새몸짓입니다.


    이번 주에 소개해드릴 철학자 최진석의 글은 <이제는 크기다>입니다. 지금 이 시대에 우리는 기능이 아닌 본질에 집중해야 하며, 추상과 은유를 가지고 그 다음으로 건너가야 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이번 한주도 늘 한 걸음 더 나은 삶으로 건너가시길 바라겠습니다.  

    *철학자 최진석의 글을 소개합니다. 


    이제는 크기다



    자랭이가 크면 병어가 되고, 병어가 크면 덕자가 된다. 일정 정도로 크기가 달라지면 다른 것이 되기 때문에 다른 이름을 붙인다. 빅데이터로 세상을 이해하고 관리하고 통제하는 세상이다. 같은 데이터라도 크기가 수십 테라바이트나 페타바이트 이상 규모로 커지면, 전혀 다른 데이터가 된다. 작은 데이터에서는 찾을 수 없는 ‘법칙’이나 ‘규칙’을 큰 데이터에서는 발견할 수 있다. 사람도 그렇다. 마음의 크기가 다르면, 종으로서는 같지만, 사실은 차원을 달리하는 다른 사람이다. 시선의 높이가 삶의 높이이기 때문이다.

    장자는 제대로 살고 싶으면 큰 붕새(鵬)처럼 큰 사람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 사람은 “해나 달과 어깨를 나란히 한 채, 우주를 겨드랑이에 끼고” 살면서 기능적인 “귀천”이나 “이해”(利害)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 큰 사람은 본질을 살피고, 작은 사람은 기능에 빠진다. 공자까지도 큰 사람인 군자(君子)는 자잘한 기능에 빠지지 않는다(君子不器)고 강조한다.

    『장자』에 나오는 얘기다. 혜시가 박 씨를 얻어와 뒤뜰에 심었는데, 5섬이나 들어갈 정도로 큰 박이 열렸다. ‘박’으로는 보통 바가지를 만든다. 이 박은 너무 커서 바가지로 만들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박을 부숴버렸다. 장자가 이 소리를 듣고 혜자는 자신의 예상을 넘어선 크기를 다룰 줄 모른다고 힐난하면서 박이 그 정도로 크면 바다에 띄워놓고 배로 쓰면 된다고 가르쳐준다. 혜자를 쑥대 대롱처럼 작은 마음을 가졌다고 비웃기까지 한다. 장자는 큰 마음을 가진 큰 사람이라 큰 것을 크게 쓰는 창의력을 발휘하여 배를 만들었고, 혜자는 작은 사람이라 작은 마음을 가져서 바가지라는 정해진 기능 이상을 생각할 수 없었다. 인간의 본질인 상상하는 능력을 발휘한 사람과 정해진 기능을 구사하는 데에 갇혀 있는 사람 사이의 차이이다. 창의적이냐 아니냐는 결국 본질에 가까운가 아니면 기능에 가까운가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것은 또 큰 사람이냐 아니면 작은 사람이냐가 결정한다. 결국은 크기이다.

    문명은 창의의 산물이다. 창의적이어야 먼저 만들고, 먼저 만들어야 주도권을 갖는다. 주도권을 가져야 더 자유롭고, 더 주체적이며, 더 독립적으로 산다. 창의적이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 종속적으로 산다. 영어에서도 창의(creativity)라는 말은 "커지다"나 “자란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크레세레(crescere)와 한 뿌리다. 창의성은 성장과 관련된다. 마음의 크기나 지식의 양이 커져야 창의적일 수 있다. 큰마음으로 상황을 자유롭게 지배해야 창의적일 수 있지, 쑥대 대롱같이 작은 마음으로야 정해진 낡은 것들을 지키는 데에도 급급하다. 창의성은 은유(metaphor)의 한 형태다. 은유는 이질적인 것들 사이에서 공통점을 발견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창의를 연결이라고 한다. 서로 다른 것을 연결해 놓으면, 인간이 누리는 영토의 크기가 커진다. 영토의 크기를 키우는 일은 큰 사람만 할 수 있다. 전략적이다. 작은 사람들은 큰 사람이 키워놓은 영토에서 한 뼘이라도 더 차지하려고 전전긍긍하며 기능적으로 정해진 자잘한 것을 지키는 데에 바쁘다. 전술적이다. 문명의 주도권은 창의적인 자, 즉 크기가 큰 사람이 잡는다.

    우리는 지금까지 다른 나라에서 일군 창의의 결과를 받아서 살았다. 이제는 스스로 창의를 해내는 단계로 도약해야 한다. 도약의 성공 여부가 우리 운명을 결정할 것이다. 도약해내지 못하면 어쩔 수 없이 쇠락한다. 도약은 창의의 일종이다. 당연히 크기가 큰 사람만 할 수 있다. 

    크기가 없는 사람에게는 정의나 선악이나 진위나 공정도 모두 폭력이 되기 쉽다. 착하고 옳은 사람이 되기보다 큰 사람이 되려 하자. 선악과 진위의 관념으로는 크기를 만들지 못하지만, 크기로는 진위와 선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제는 크기다. 잔챙이로 살다 가도 괜찮은지, 최소한 한 번은 물어야 한다. 우선은 자신에게.



    최진석,  <이제는 크기다>. 《중앙일보》. 2023.03.10. 

    48760_1678650222.png
    48760_1668340092.png
    * 새말새몸짓의 소식을 전합니다. 
    48760_1678651377.jpg
    <기본학교>
    * 새말새몸짓 기본학교3기 수업이 지난 토요일에 전남 함평에서 있었습니다.  

    * 이번 수업은 <은유: 연결과 창의>라는 주제로 최진석 교수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 책이나 강연에서는 들을 수 없었던 주옥같은 많은 말씀을 해주셨는데요, 이중에서 한문장을 공유합니다.  
    "내가 가치있고 소중한 줄 아는 것이
    모든 일의 시작이다."   
    이번 기본학교 수업중, 어느 학생의 질문에 대한 교수님의 답변이었습니다. "인생이 짧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내게 주어진 시간이 한정적인 시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면, 그 시간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 그리고 내가 소중한지도 알게 된다. 내가 가치 있고 소중한 줄 아는 것이 모든 일의 시작이다.  ... 그러면, 한순간도 자신을 경박한 곳에 두지 않게 된다. "
    이전의 강의에서도 비슷한 맥락에서 해주셨던 말이 떠오릅니다. 인생을 사는 데 있어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두 가지가 있는데..그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무한 신뢰'
    '자기 자신에 대한 무한 사랑' 

    각자의 삶속에서 분투하고 있는 모든 분들께 응원과 지지의 마음을 전합니다. 
    늘 한걸음 더 건너가시길 바라겠습니다.
    48760_1678042140.png
      
    추천1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