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단법인 새말새몸짓
로그인
  • 참여
  • 자유게시판
  • 참여

    자유게시판

    꼰대로 살지 마세요. 좋은 어른으로 살아야 합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광민 (211.♡.89.97)
    댓글 댓글 1건   조회Hit 141회   작성일Date 25-04-18 09:56

    본문

    꼰대로 살지 마세요. 좋은 어른으로 살아야 합니다.
    = 당연한 것이 많은 꼰대로 살지 마세요. 세상과 나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실력을 갖추는데 노력하는 어른으로 살아야 합니다.



    1. 50대 후반과 60대의 고민


    50대 후반에서 60대에 접어들면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것은 비극일 수 있다. 이는 자신을 돌아보거나 궁금해하지 않은 결과이다. 대한민국은 꿈을 꾸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으며, 싸울 일만 남은 상황이다.


    2. 장자의 가르침과 어른의 조건


    장자는 말과 태도에 질서가 없고 나이가 들었다는 것만으로는 어른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고 말한다. 어른은 보편적인 가치와 질서를 보여주어야 한다. 진영 논리에 갇힌 사람들은 생각하는 능력을 잃고, 세계의 변화나 원리에 대한 궁금증을 갖지 못한다.


    3. 꼰대의 특징과 청춘의 중요성


    마음이 좁아지면 당연한 것에 집착하게 되어 말이 많아지고 가르치려 드는 '꼰대'가 된다. 꼰대는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잃은 사람들이다. 청춘은 궁금증과 호기심이 많으며, 말과 태도가 질서에 맞다.


    4. 자신을 향한 탐구의 중요성


    자신을 끊임없이 궁금해하고 당연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을 향해 걷는 길이 가장 어려우면서도 가치 있는 길이다. 자신을 궁금해하지 않는 사람들은 타인을 비난하는 경향이 있다.


    5. 꿈과 삶의 궤도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질문하고 결정하면 삶이 힘들어지지 않는다. 군대 경험을 예로 들며, 자기 안에서 솟아나는 포부가 설정되고 경로가 만들어지면 지치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자신을 궁금해하는 것은 삶의 중요한 비밀이며, 장자의 '작회'는 가벼운 개념이 아니다.


    6. 정년퇴직 후의 삶에 대한 조언


    50대 후반이나 60대에 정년퇴직 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묻는 사람들에게, 스스로 삶의 경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60대에 "뭘 하고 살아야 할지"를 다른 사람에게 묻는 것은 자신의 삶에 경로가 없다는 의미이다.


    7. 철학 공부와 과학의 중요성


    철학은 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특별한 방식이며, 세계를 알아야 한다. 과학적 발전에 올라타지 않은 철학은 헛소리가 될 수 있으며, 과학적 발견과 기술의 진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8. 존재의 품격과 현실적인 성취


    존재의 품격은 도덕적, 인격적인 것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작동 수준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함량을 키워야 현실적인 성취가 커지며, 지식의 양, 좋은 습관, 큰 포부가 필요하다.


    9. 참된 지식과 꿈의 중요성


    지식은 단순히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암이며, 인격에서 시작된다. 꿈을 이루기 위한 디딤돌이 아닌, 말의 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과 같은 존재론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꿈을 꾸는 사회가 도달할 수 있는 높이가 있으며, 야망과 포부가 있으면 지치지 않는다.


    10. 삶의 실천적인 조언


    자신이 하는 일을 자기 자신에게 설명하고 일체화하여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라고 결정해야 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김광민님의 댓글

    김광민 아이피 (119.♡.6.184) 작성일 Date

    5번 '작회' > '자쾌'